OOP (객체지향)
-
좋은 객체지향이란 무엇일까? (SOLID 원칙)OOP (객체지향) 2022. 10. 3. 09:00
지난번 포스트를 통해 우리는 객체지향을 이루는 4가지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좋은 객체지향이란 무엇일까? - 1 지난번 포스트를 통해 우리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게 된 배경과 독립된 객체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이룬다고 알아보았습니다. 객체지향은 어떻게 생 b-story.tistory.com 오늘은 로버트 마틴에 의해 명명된 SOLID 설계 원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OLID는 유지 보수와 확장에 용이하며 객체지향을 좀더 객체지향스럽게 하기 위한 5가지 설계 원칙입니다.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 "모든 클래스(모듈)는 하나의 책임만 가지며, 클래스는 그 책임을 완전히 캡슐화해야 한다" 이는 흔히 하나의..
-
좋은 객체지향이란 무엇일까? (객체지향의 특징)OOP (객체지향) 2022. 10. 2. 02:54
지난번 포스트를 통해 우리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게 된 배경과 독립된 객체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이룬다고 알아보았습니다. 객체지향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 객체지향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 우리는 객체지향을 이해하기 전에 어떤 배경으로 이것이 등장했으며, 그 전에는 어떤 방식의 프로그래밍 기법이 있었는지 알아야 한다. 순차적, 비구조 b-story.tistory.com 그렇다면 좋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는 이를 알아보기 위해 객체지향을 이루는 4가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객체지향을 이루는 4가지 특징 Abstraction (추상화) 추상화가 가지는 목적은 중복 코드의 제거 입니다. 우리는 설계에 앞서 도메인 ..
-
객체지향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OOP (객체지향) 2022. 9. 29. 02:35
객체지향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 우리는 객체지향을 이해하기 전에 어떤 배경으로 이것이 등장했으며, 그 전에는 어떤 방식의 프로그래밍 기법이 있었는지 알아야 한다. 순차적, 비구조적 프로그래밍(Sequential programming & Non-structured programming) 작성된 코드 그대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동작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당연하게도 가장 초창기 프로그램 패러다임이며, 직관적이지만 비구조적이다. A -> B -> C의 동작중 C에서 A로 가야 할 일이 생기면 goto를 사용해야 한다. 당연하게도 goto를 무분별하게 사용한다면, 코드의 직관성을 잃게 된다. 사실 100% 순차적 프로그래밍을 사용한다면 goto문을 사용하지 않는 게 맞다. goto..